본문 바로가기

코드스테이츠 PMB

(16)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8D4] JIRA와 애자일 8주차의 마지막 과제! 오늘은 애자일 방법론에 대표적인 협업툴로 이용되고있는 Jir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Jira Software는 팀을 위한 이슈 추적 및 프로젝트 관리 도구로 애자일을 대표하는 칸반,스크럼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 세계 약 6만5천개 이상의 회사에서 사용하는 만큼 가장 대중적인 협업툴이라고 할 수 있다. 제공되는 보드 기능을 통해 각 팀별로 진행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고 업무 진척도 또한 한눈에 알아볼 수 있어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 굉장히 효율적이고 유용한 툴이다. 그렇다면 Jira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 중 어떤 기능들이 애자일 원칙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들어가기 전, 애자일의 12가지 원칙을 함께 짚어보고 넘어가보자. 1. 초기..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8D3] 스타벅스 PM이 되어 이해관계자와 소통하기 *본 글은 PC환경에서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스타벅스 사이렌오더의 유저스토리 1. 주문 수정/취소를 원하는 고객은 주문이 들어가기 전, 해당 주문건을 취소하고 싶어한다. 2. 기프티콘을 사용하는 고객은 매 결제시마다 등록하는 것이 불편하니 쿠폰을 어플 내 미리 등록해놓고 싶어 한다. 3. 결제 전 해당 지점의 대기팀 수를 알아 미리 예상 시간을 예측하고자 한다. 스타벅스의 이해관계자 분석하기 스타벅스와 관련하여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한다. 이에 크게 내부관계자와 외부관계자에 속해 있는 어떤 분들이 있는지 생각해보았다. 내부관계자 C-level(경영진) 개발팀 디자인팀 CS팀 마케팅팀 외부관계자 배달대행업체(딜리버리 주문 이용시) 물류배송업체(온라인스토어 이용시) 각 스타벅스 점포 투자사 고객 오늘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8D2] 애자일 방법론-스크럼 프레임워크 *본 글은 PC환경에서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들어가며 오늘은 전통적인 워터폴 방식이 아닌 신속한 반복 작업을 통해 실제 작동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애자일 방법론 중 대표적인 실행 도구인 스크럼 프레임워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해당 과제에 앞서 애자일 방법론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칸반'과 '스크럼'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가고자 한다. 스크럼은 말 그대로 정해져 있는 규칙을 따르는 '프레임워크' 이기에 각자 입맛에 맞추어 변형해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 스크럼 가이드' 가 존재한다. 올바른 스크럼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해당 가이드를 통해 전반적인 스크럼 프로세스 파악과 팀 내 PO(PM)의 역할 그리고 실제 스프..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카카오톡 캘린더로 살펴보는 오픈API *본 게시글은 PC환경에서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API개념과 오픈API, Restful API API란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하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일컫는 말로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 즉 창구를 말한다. 은행을 예로 들자면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대출 창고'를 이용하고 입출금 업무를 위해서는 '입출금 창구'를 통해 업무를 진행하듯 어떠한 요청을 하고 그에 맞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거쳐야하는 관문이다. 그렇다면 오픈API는 무엇일까? 말 그대로 오픈된 형태의 api로,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색 결과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받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한다.예를 들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날씨api,..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Melon'의 서비스 유형 알아보기 들어가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수많은 프로덕트는 각 서비스 유형에 맞게 웹,앱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디지털 시대가 도래한 후,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등 디바이스들이 확장됨에 따라 웹 서비스를 주로 활용하던 플랫폼들이 모바일 환경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유형으로 변화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바일을 사용하며 앱 시장 즉, 모바일 커머스시장이 커지면서 앱 중심의 서비스가 주로 활용되고 있다. 간략하게 어떤 서비스 유형이 존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과연 프로덕트가 다양한 서비스 유형을 제공하고 나에게 익숙할까 고민하다 아주 어린 시절부터 무려 13년 동안 애용하고 있는 '멜론'을 오늘의 프로덕트로 선정하게 되었다. (근데 과제하면서는 유투브로 음악을..읍읍) 음악..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3/D4] OECD국가의 '삶의 질' 데이터 분석하기(가설설정, 시각화) Quality of life in a country comparison 2022 국가별 삶의 질 비교 데이터 삶의 질이란 살아가는 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가치,의미, 만족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개인이나 사회의 일반적인 '참 살이' 에 대한 생각을 평가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해당 평가 요소로는 정신적인 상태, 스트레스 정도, 건강, 임금, 기후, 안전 등 다양한 지표가 있으며 우리의 삶의 최종 목표인 '행복' 을 달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이다. 최근 지독한 감기로 인해 삶의 질이 뚝뚝 떨어지는 경험을 하기도 했고 인터넷 서핑을 하다 나라별 삶의 질에 대한 기사를 봤던 기억이 나 이번 과제의 데이터로 '삶의 질' 을 선정하게 되었다. 데이터 수집 채널 해당 데이터를 찾기 위해 통계청차료를 서치..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1]브랜디의 작동 과정 파악하기(Feat. Flow Chart) *본 게시글은 PC환경에서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들어가며 오늘은 W6D1. 드디어 개발 관련 지식에 들어가게 되었다. PM은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기에 어떤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해야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이에 첫 걸음으로 데이터 분석 단계, 툴 등을 가볍게 배웠으며 해당 학습을 통해 고객이 할 수 있는 행동을 이해하고, 그 행동에 따라서 프로덕트 내부에 설계된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파악해보도록 하겠다. 인기쇼핑몰을 한번에, 브랜디 스타일맞춤 인기상품이 가득 오늘출발 내일도착 하루배송까지! MBTI 중 끝장 즉흥P인 본인은 여행을 앞두고 늘 미리 주문해야지..주문해야지하다 결국 당일 하루이틀 전 빠른 배송이 가능한 패션 플랫폼 '브랜디'를 자주 사용하곤 했었다. 이제 나이..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2] 클래스101의 AARRR분석 보충